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희열 표절, 작정하고 베낀 흔적

by 라이터스하이 2022. 7. 12.

 

음악 만들 때 3가지를 늘 고민하게 된다

- 듣는 사람이 잘 소화할 수 있을까?
- 예쁜 소리를 만들 수 있을까?
- 나만 할 수 있는 걸 만들 수 있을까?

듣는 사람이 잘 소화한다는 건 '대중성'에 대한 걱정이고, 예쁜 소리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건 '미학적인 아름다움'을 고민한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나만 할 수 있는 음악을 만든다는 말은 '나만의 색깔'을 입힌다는 뜻이다.

다른 사람은 잘 모르겠지만, 난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구간이 나오면 일단 시퀀스(프로그램)의 가위부터 찾는다. 모르긴 몰라도 많은 작곡가들은 습관적으로 이런 가위를 항상 준비하지 않을까. '내가 만든 노래가 혹시 어딘가에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갖고 산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에서 표절 논란이 된 곡들은 그런 생각을 하지 않고 만든 것 같다. 이번 유희열 표절 논란도 그렇지 않았을까? 문제는 그런 곡들이 지금까지 '유사성'이라는 단어로 논란을 피해갔다는 거다.
그리고 치졸하게 유사성은 무슨 유사성인가? 그냥 베꼈다고 하는 게 차라리 낫다. 그 상황에 워딩까지 신경쓰며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게 너무 뻔뻔해 보인다.

이해가 안 가는 건 아니다. '합법적인 한도 내에서 잘 편곡하면 되지 않을까? 그러면 쉽게 음악도 만들고 돈도 벌 수 있을텐데'. 음악 만들며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 봤을 거다. 하지만 음악은 발매되는 순간 어디로 퍼질지 모르고, 유희열 사태처럼 자기 발목을 찍을 수 있는 일이다. 작곡가들은 그걸 잘 알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나만의 멜로디를 만들어내려는 거다.

정체성이란 단어는 작곡가가 가진 프라이드 중 가장 큰 것 중에 하나라 생각한다. 그게 없다면 그냥 음악을 돈 버는 도구로 활용하는 셈이다. 그게 나쁘다는 건 아니지만, 음악을 만드는 과정을 사랑하는 사람은 아니라는 증거가 된다. 결과를 뽑아내기 위한 도구로 음악을 이용한거라 생각한다.

 

영향을 받는다는 말

참 편한 말이다. 물론 우리 모두 누군가의 영향을 받는다. 이미 DNA부터 누군가의 영향이니까. 그런데 그 말이 표절을 비켜가기 위한 수단이 되면 안 된다. 
영향을 받는다는 말은 그 음악이 데려다주는 시대나 배경이 비슷할 때, 영향을 받는다는 말을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위켄드나 부르노 마스의 노래 등을 들으면 옛날로 돌아가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뉘앙스나 장르적 유사성을 두고 영향을 받는다고 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작정하고 베끼지 않으면' 비슷하게 만들 수 없다

내가 처음 만든 노래의 코드 진행은 Oasis의 Don't Look Back In Anger라는 곡에 나오는 코드를 많이 이용했다. 가장 좋아하는 노래 중 하나기 때문에, 그 안의 코드들을 골라 골을 만들었다. 코드 진행은 당연히 다르지만 80%이상 그 곡 안의 코드를 썼다. 그리고 다시 가수에 맞게 두 번을 편곡했고, 악기들은 90-2000년대 분위기의 악기들로 채워 네오 소울곡을 완성했다. 당연히 Oasis의 노래와는 전혀 다른 곡이 나왔다.

그러니까 '작정하고 베껴야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 않으면 유사하게 나오기도 어렵다'는 이야기가 된다. "좋아하는 아티스트기 때문에 어느 날 유사하게 나와버린 것 같다.'는 말은 결국 베꼈다는 흔적을 보이지 않겠다는 이야기일 뿐이다.

유희열은 변명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라서'라는 말을 했던 걸로 알고 있다. 이것도 굉장한 변명이라 생각한다. 정말 좋아하는 아티스트일수록 오히려 더 다르게 만들고 싶은 게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팬이라면, 그 아티스트를 좋아하는 팬의 한 사람으로서 아류작을 만들고 싶지는 않을테니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