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연말시상식은 기대보다 하품을 더 불러왔다. 축제라기엔 딱딱하고 시상식이라기엔 가벼워졌다. 연말시상식을 보면서도 리모컨을 손에 쥐고 채널 돌리기에 급급해졌다. 긴장감의 대명사였던 방송 3사의 연말시상식이 2013년에년 더 이상 기대조차 되지않는 이유는 뭘까?
예측가능한 수상의 데자뷰
많은 시청자들이 생각한대로 흘러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이 첫번째 이유다. 프로그램은 다양해지고 배우들의 연기력도 업그레이드 되고 있는 미디어와 방송국. 하지만 시청률과 인기위주의 수상은 시상식을 볼 때 마다 찬물을 끼얹었다. 아카데미나 그래미에서 볼 수 있는 기립박수는 고사하고, 인기있는 배우나 프로그램 관계자가 올라가 꽃다발 받기 바쁜 그림이다.
투명하지 못한 시상식과 방송사의 내자식 챙기기. 리모컨을 손에서 놓기 쉽지않은 이유가 아닐까 싶다. 관건은 드라마와 예능 두 카테고리에서의 전쟁인 시상식의 작은 파이 역시 예측 가능할 수 밖에 없는 시상식의 구조를 만든다. 때문인지 가끔 논란이 되는 배우들이나 연예인들의 수상을 제외하면 반전이나 뒷이야기꺼리 조차도 쉽게 안 생긴다.
공신력보다는 내자식 챙기기, 퀄리티보다는 탑스타 붙잡기
국내 시상식의 귄위를 스스로 깎아내리는 두번째 이유다. 공식적인 집계나 전문집단의 촘촘한 썰전. 그 무게 중심으로 대표되는 아우라가 눈씻고 봐도 느껴지지 않는다. 한 해 방송국에 최고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다 준 배우나 컨텐츠에 아낌없이 트로피를 뿌려댄다. 가끔은 나눠먹기, 때로는 단체수상이란 명분으로 말이다. 이뿐만은 아니다. 영화배우나 좀처럼 TV에서 만날기 힘든 탑스타에겐 대상뿐만 아니라, 미미한 활약에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심이저 인기스타상 같은 없는 상도 만들어 눈치보는 뉘앙스를 풍겨댄다. 마치 다음에도 우리 방송국이랑 한 번 작품해도 라고 말하듯, 기획사에 방송국이 떡이라도 돌리는 듯.
처음부터 황금 두꺼비가 가져갈 대상?
지난 시상식에서 조승우가 모 방송국에서 대상을 수상하면서 안재욱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소감으로 전했다. 그 대상소감에 수상자 뿐만이 아니라 시청자들 대다수가 공감한다는 것은 그 상은 그 사람것이 아니란느 거다. 받는 사람도 미안할 지경이니 말이다. 꾸준히 고생하는 배우나 드라마보다 앞으로 대박을 칠 가능성이 있는 배우들에게 주는 대상은 그저 암묵적인 계약서로밖에 보이질 않는다.
2013 연말시상식이 사라진 이유
그래도 없는 것보단 있는 것이 나은 시상식이라면 할 말은 없다. 어마어마한 광고 덕분에 시상식을 포기할 수는 없고, 방송국에 헌신한 배우나 드라마에 대상을 주기엔 탑스타들의 눈치도 봐야하니, 매너리즘에 빠질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대한민국 방송사와 기획사의 눈치보기와 섭리는 어느정도 이해하 하지만, 투명하고 매년 기다려져야할 시상식은 이제 보는 사람에게 플랜B로 전락한 킬링타임용 컨텐츠로 전락했다. 공정한 시상은 못할 것 같고, 광고수익도 포기할 수 없다면 차라리 시상식이 아닌 파티라 칭하는 게 맞지 않을까? 새로운 마음을 다질 연말의 3시간은 시청자에겐 너무 소중한 시간이다. 덕분에 기대와 긴장감의 연말시상식은 이제 사라졌다.
'Blog > Star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익병 발언논란, 일반인 출연 위험의 사각지대 털렸다 (0) | 2014.03.13 |
---|---|
김미경 방송복귀, 용감한 언니의 마지막 트리플악셀 (1) | 2014.02.26 |
청룡영화제 여우주연상, 언더독 한효주의 의미없는 판정승 (25) | 2013.11.23 |
New 별들의 전쟁, 2013 SIA(Style Icon Awards)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개봉박두! (0) | 2013.10.23 |
마이클잭슨, 그의 죽음도 막지못한 최후의 공연 스릴러 라이브가 온다! (0) | 2013.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