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우림의 나가수 출연이 기대되는 이유
자우림, 1997년 YB와 데뷔 동갑내기로 대한민국 메이져 밴드로서 꽤 인지도를 갖춘 밴드다.
YB의 음악들이 2002년 이후 크게 대중적으로 알려졌다면
자우림은 데뷔 초부터 '여성보컬 밴드'라는 희소성과 독특하고 유니크한 매력으로 매니아층이 두텁다.
이런 자우림의 출연소식에 긴장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단연 YB가 될 것이다. 아직 탈락자의 향방을 알 수 없는 상황이지만, 한 주 한 주 생존여부를 놓고 벌이는 경쟁 속에, Rock 이라는 장르에서 나뉠 또 다른 표갈림을 걱정 할 수 밖에 없는 YB의 상황인 것인데. 지난 주 김조한의 강력했던 로큰롤 '허니'에 이어 밴드 자우림의 출연은 숨막히는 압박감을 느끼기에 충분해 보이는데.
보컬인 김윤아의 몽환적이고 시니컬 한 보이스는 수많은 아류들을 생산해냈다. 물론 밴드에 있어서 보컬이 전부라 말 할 수는 없지만, 1997년 데뷔한 이 밴드의 잠정은 '유니크한 보이스'를 가진 보컬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봄날은 간다', '헤이 헤이 헤이', '미안해 널 미워해', '일탈', '매직 카펫 라이드' 등 김윤아 특유의 목소리는 항상 '신비롭고 변화무쌍'했다.
보컬의 이점과 더불어 김윤아는 모든 곡을 작사, 작곡 가능한 '싱어송 라이터'다. 3집에서는 편곡, 프로듀싱까지 모든 작업을 혼자서 마무리했다. 곡을 받아서 부르는것과 편곡자가 직접 부르는 것에 있어서의 감정전달 차이, 이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이 정도면 나가수에 내놓아도 손색없지 않을까?
홍대 앞 인디신에서 메이져로 진출해 어느덧 15년차를 넘어선 밴드. 자우림의 가장 큰 장점은 보컬, 음악성 어떤 것이 될 수도 있겠지만 '진정성'에 있을 것이다. 김윤아의 3집 쇼케이스 공연에 그녀는 '입장료는 꽃 한송이로 받겠다'고 말하며 많은 팬들에게 감동을 준 기억이 있다. 마음의 소통을 원하는 자우림의 진정성이 나는 가수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이제는 예고편이 되버린 친절한 '나가수의 스포일러'. 7월 20일자 기사들에는 하나같이 '자우림 나는 가수다 출연'이라는 서두의 제목들이 주를 이뤘다.
자우림, 1997년 YB와 데뷔 동갑내기로 대한민국 메이져 밴드로서 꽤 인지도를 갖춘 밴드다.
YB의 음악들이 2002년 이후 크게 대중적으로 알려졌다면
자우림은 데뷔 초부터 '여성보컬 밴드'라는 희소성과 독특하고 유니크한 매력으로 매니아층이 두텁다.
보컬인 김윤아의 몽환적이고 시니컬 한 보이스는 수많은 아류들을 생산해냈다. 물론 밴드에 있어서 보컬이 전부라 말 할 수는 없지만, 1997년 데뷔한 이 밴드의 잠정은 '유니크한 보이스'를 가진 보컬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봄날은 간다', '헤이 헤이 헤이', '미안해 널 미워해', '일탈', '매직 카펫 라이드' 등 김윤아 특유의 목소리는 항상 '신비롭고 변화무쌍'했다.
보컬의 이점과 더불어 김윤아는 모든 곡을 작사, 작곡 가능한 '싱어송 라이터'다. 3집에서는 편곡, 프로듀싱까지 모든 작업을 혼자서 마무리했다. 곡을 받아서 부르는것과 편곡자가 직접 부르는 것에 있어서의 감정전달 차이, 이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이 정도면 나가수에 내놓아도 손색없지 않을까?
홍대 앞 인디신에서 메이져로 진출해 어느덧 15년차를 넘어선 밴드. 자우림의 가장 큰 장점은 보컬, 음악성 어떤 것이 될 수도 있겠지만 '진정성'에 있을 것이다. 김윤아의 3집 쇼케이스 공연에 그녀는 '입장료는 꽃 한송이로 받겠다'고 말하며 많은 팬들에게 감동을 준 기억이 있다. 마음의 소통을 원하는 자우림의 진정성이 나는 가수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반응형
'Blog > Varie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적의 오디션, 참가자를 가두는 아쉬운 연출 (8) | 2011.07.23 |
---|---|
해피투게더, 문채원 경악시킨 불편했던 김준호의 억지손 (66) | 2011.07.22 |
나가수, 김조한 honey 윤도현마저 멍때리게 만든 회심의 일격 (14) | 2011.07.18 |
무한도전, 제9의멤버 개리 데프콘, 미친 존재감 폭발 무한경쟁 돌입 (9) | 2011.07.17 |
1박 2일 가학성 논란, 잔인한 여론의 쌍방과실 (23) | 2011.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