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불허전이라는 명함을 꺼내기에도 부끄러울 정도다. 2011년은 나가수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는데 말이다. 그런 프로그램에 어쩌다가 시청률 1자리 수에 논란만 가득한 프로그램이 되었을까? 타 오디션 프로그램들의 경쟁력 때문일까? 아니면 깎아내리는 언론들 때문일까? 잘은 모르겠지만, 근본적인 나가수의 문제점은 이런 외적인 문제보다 내적인 원인이 더 커 보인다.
이 후 아시다시피 지금의 나가수와 비교해 지나치게 솔직했던 이 쌀집아저씨가 김건모 논란을 그대로 내보냈고, 여론의 희생양으로 자리를 내놓았다. 곧바로 논란과 이슈의 정점에 서있었던 시기가 찾아왔다. '놀러와'를 잘 이끌고있던 신정수 PD를 나가수에 앉힌 것이다. 유난히 스포일러와 논란들이 심하게 유출되던 시기였지만 화룡정점에 있던 나가수를 말리기는 힘들었다. 오히려 신정수 PD가 빠져나온 놀러와에 대한 비극이 예고되는 도화선이었다.
단 몇 개월 사이에 놀러와에는 4명의 PD가 들락날락하는 버라이어티한 일들이 일어났고, 결과는 당연히 좋을리가 없었다. 일요 예능에 거는 기대치와 중요성은 이해가 가지만, 몇 안되는 장수 프로그램인 놀러와는 만신창이가 되버렸다. 더욱이 놀러와 PD를 들어내면서까지 올인했던 나가수마저 망쳐버렸다. 결과적으로 MBC가 놀러와, 나가수 모두를 스스로 망가트린 셈이다.
이토록 놀러와와 유재석을 사뿐히 즈려밟고 간 나가수도 그리 행복하지는 못했다. 정작 주인공은 가수들임에도 노래에 몰입을 방해하는 예능 코드를 무리하게 삽입하기 시작했고 순위 발표와 인터뷰가 이제는 절반 이상을 구성하고 있어서 시청자 입장에서는 노래에 대한 감흥을 제대로 전달받기 힘들어졌다.
뿐만 아니라 장기호 교수가 밝혔듯이 적우는 애초에 자문위원단의 추천으로 나가수에 온 출발이 아니었다. 제작진과 출연 가수에 대해 한 번도 상의한 적이 없고, 적우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이었다던 장 교수의 인터뷰 내용은 마치 적우를 적극 추천한다는 뉘앙스의 편집으로 누군가 의도한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작과 끝을 정리해보니 마치 나가수 안에서의 레임덕이 발생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반응형
'Blog > Varie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박 2일 절친특집, 미대형 이서진 반전의 카리스마로 강호동 채웠다 (1) | 2012.01.16 |
---|---|
위대한 탄생, 감동적인 '이선희 눈물'에 격하게 '공감하지 못한' 이유 (5) | 2012.01.14 |
보이스 코리아, 오디션 프로의 보이콧될까? (1) | 2012.01.10 |
윤민수 집시여인, 순위 과욕이 부른 몰개성의 종결무대 (105) | 2012.01.09 |
무한도전 나름가수다, 정준하 1위가 안긴 나가수의 굴욕 (4) | 2012.01.08 |
댓글